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6)
남을 흉내내다 다 잃는다. 한단지보[邯鄲之步] 도시 사람들의 걸음걸이가 부러워 시골을 떠난 젊은이가 그 흉내를 내보려고 했으나 실패하고 자신의 걸음걸이조차 잊어버렸다는 성어 무턱대고 남의 흉내를 내면 자신의 중요한 것마저도 없어져, 양쪽 모두 헛일이 되어버린다는 뜻 邯 : 땅 이름 한 鄲 : 조나라 서울 단 之 : 의 지 步 : 걸을 보 한단지보의 유래 전국시대의 일이다. 동네 사람들이 마을 어귀에 모여서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조나라의 서울인 한단 사람들의 걸음걸이는 너무나 경쾌하고 아름답지." 이 말을 들은 소년이 끼어들었다. "아저씨 저도 그 걸음걸이를 배워보고 싶어요." 그 이야기를 들은 남자는 손사래를 치며 말했다. "하하 나는 그 걸음걸이를 흉내 낼 수도 없단다." 소년은 도시 사람들의 걸음걸이에 대해 선망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단에 ..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릴 때 가장 중요한 눈동자를 그려 넣어 완성시키는 것 일의 마무리를 하는 것 또는 중요한 부분에 정성을 들여 전체를 훌륭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畵 : 그림 화 龍 : 용 룡 點 : 점찍을 점 睛 : 눈동자 정 화룡점정의 유래 남북조 시대 양나라에 장승요라고 하는 유명한 화가가 있었다. 그는 안락사의 벽에 용을 그리고 있었다. 그런데 그 용에는 눈동자가 없었다. 주변의 사람들이 물었다. "어 눈동자가 없는데요?" 그러자 장승요가 대답했다. "일부러 눈동자를 그려넣지 않는 것이오. 눈을 그려넣으면 용이 생명을 얻어 금방 승천해버릴 것이기 때문이오." 사람들이 믿지 않자 장승요는 용의 눈동자를 그려 넣었다. 그러자 그 순간 번개가 치고 천둥이 울리더니 용은 벽을 깨고 하늘로 올라가 버렸다. 출처 당나라..
쓸모없는 것의 쓸모, 무용지용[無用之用] 아무런 쓸모가 없는 듯이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소중한 것이라는 뜻 도움을 주지 않는나는 그 자체가 반대로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 '무용'은 쓸모가 없다는 것 '용'은 쓸모가 있다는 것 無 없을 무, 用 쓸 용, 之 어조사 지, 用 쓸 용 무용지용의 유래 전국시대 어느 목수가 제자와 제나라를 여행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큰 상수리나무가 신으로 모시는 나무로 받들어지고 있는 것을 보았다. 제자는 상수리나무를 보면서 "이 것은 훌륭하게 자란 나무구나. 저 가지 하나만으로 배 한척을 만들겠건만 스승님은 이렇게 좋은 나무를 거들떠 보지도 않는 것일까?" 목수는 말했다. "그런 나무는 아무런 필요가 없네. 배를 만들면 곧 가라앉고 가구를 만들면 금방 망가지게 되는 쓸모없는 나무라는 것이지. 유용한 나무였다면 이렇게..
앞 일에 대한 쓸데 없는 걱정 기우[杞憂] 기나라에 하늘이 무너지면 어떻게 할까를 걱정하느라 밤에 잠을 못자는 사람이 있었다. 쓸데없는 걱정을 하는 것을 일컬음. 杞 나라 이름 기 憂 근심할 우 기우의 유래 아주 옛날, 기나라에 무턱대고 걱정만 하는 사람이 있었다. "만약에 하늘이 무너지면 어떻게 하지? 무섭다. 설마 하늘과 땅이 뒤집히지는 않을까? 밤에 잠을 잘수가 없다. 밥도 넘어가지가 않아." 이렇게 걱정만 하는 그를 위해 친구가 찾아왔다. "이보게 하늘은 공기가 모인 것이고 땅은 흙덩이가 세상 끝까지 이어진 것이라네. 그런 하늘과 땅이 무너지거나 뒤집어지는 일은 있을 수 없지 않은가?" 출처 전국시대의 학자 열자의 '열자' 중 기우 예문 네이버는 지난해 경기도 용인에 두 번째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려다 무산됐다. 일부 지역 주민이 "데이..
탈무드 사귐의 방법③ 평판은 가장 좋은 소개장이다. 아키바라는 위대한 랍비가 있었다. 아키바에게는 대단히 우수한 청년인 아들이 있었다. 아키바의 아들은 아버지에게 말했다. "아버지, 친구분들에게 제가 얼마나 학문이 높은지, 실력이 좋은지를 말씀해주세요." 그러자 아키바는 대답하였다. "아니다. 나는 너를 칭찬하지 않겠다. 너의 평판이야말로 가장 좋은 소개장이란다." 이 말과 같이 평판은 수많은 소개장이 세상에 내어져 있는 것과 같으며 업적을 평가하는 소리이다. 업적만큼 그 사람의 능력에 대해 명확하게 증명할 수 있는 것은 없다. 표정은 가장 나쁜 밀고자이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있었던 일이다. 어느 군대의 사령관에게 요새를 빼앗겼다는 보고가 들어왔다. 사령관의 얼굴에는 당혹스러워하며 갈팡질팡하는 표정이 나타났다. 그것을 본 그..
탈무드 사귐의 방법② 향수 가게에서 일하면 향수 냄새가 몸에 밴다.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에게서 소독약 냄새가 나는 것과 같이 향수 가게에서 일하는 사람은 향수 냄새가 나기 마련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람도 근처에 있는 사람의 영향을 받게 된다. 사람은 자신 주의와 보조를 맞추지 않고는 살아가기가 힘이 들고 주위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람은 없다. 좋은 친구와 사귀게 되면 그 친구의 좋은 점을 배우게 된다. 친구를 사귈 때에도 좋은 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하고 나 스스로도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손님과 물고기는 3일만 되면 냄새가 난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초대한 손님에게 신경을 써서 잘해주려고 노력한다. 그 과정을 즐겁게 느낀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 점점 피곤해진다. '탈무드'에 '손님은 비와 같다. 적당히..
탈무드 사귐의 방법① 아무리 친한 친구라도 너무 가까이 하면 좋지 않다. '탈무드'에는 '친구는 석탄과 같다.'는 말이 있다. 석탄을 활용하여 적당한 거리를 두고 쬐면 몸을 따뜻하게 녹일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가까이 다가가면 델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친구도 이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친한 친구라고 해서 말을 막하거나 거리낌없이 행동한다면 친구의 기분은 상하게 되며 우정에는 금이 가게 된다. 즉 친한 친구라 할지라도 예의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애매한 친구가 되기보다는, 확실한 적이 되라. 사귐에 있어 가장 어려운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바로 애매한 친구이다. 이 친구가 진정한 친구인지 특정 목적을 가지고 사귀는 것인지 알 수 없는 사람은 대하기가 정말 어렵고 곤란하다. 사람은 친구를 만나면 경계심을 풀고 마음 ..
양머리를 걸고 개고기를 판다. 양두구육[羊頭狗肉] 양머리를 내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것을 줄인 말 가게 앞에는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개고기를 판다. 표면과 내용,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다. 라는 뜻 겉은 번지르르 하지만 내용은 엉망이다. 과거 중국에서는 양고기를 고급품으로 생각했기에 이러한 표현이 나왔다. 羊 양 양 頭 머리 두 狗 개 구 肉 고기 육 양두구육의 유래 춘추시대 제나라의 영공은 특이한 취미가 있었다. 궁궐에 있는 여자들에게 남장을 시키고 그 것을 보며 즐거워하는 것이었다. 이 것은 순식간에 나라 전체에 소문이 퍼져 여성들이 남자 옷을 입는 것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영공은 분개하였다. "아랫 것들이 궁의 유행을 모방하다니 가당치가 않다. 백성들의 남장은 전면 금지한다." 그러나 이 명을 지키는 자는 아무도 없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