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파레토 법칙 뜻과 의미, 유래

반응형

파레토 법칙이란?

마케팅 용어로도 경제 용어로도 매우 익숙한 단어들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파레토 법칙이다. 소위 '80대 20 법칙'이라고도 불리는 파레토 법칙은 전체 성과의 80%는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파레토 법칙
파레토 법칙

파레토 법칙은 천체 매출의 80%를 차지하는 것은 우수고객인 20%라는 예시에서도 사용되고 전체 경제의 80%를 20%의 사람이 차지하고 있다는 예시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사실 이 법칙의 근원은 이러하다. 유럽 제국 소득분포에 대해 연구하던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이탈리아 땅의 80%를 전체 인구의 상위 20%가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유래가 되었다.

 

빌프레도 파레토는 위의 사안 뿐만 아니라 완두콩 전체 수확량의 80%는 20%의 줄기에서 나온다는 사실 등 다양한 현상을 확인하면서 전체 성과의 대부분은 몇 가지 요소에 의존하게 된다는 통계적 법칙을 발견해낸 것이다.

이러한 파레토 법칙은 미국의 조셉 주란이라는 품질 경영 전문가에 의해 경영학과 접목되면서 학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더불어서 마케팅, 심리학, 자기계발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하도 많이 접하게 되다보니 이제는 그러려니 할 정도로 80대 20, 8대2 법칙이라고 불리는 파레토 법칙은 우리 생활 전반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형 백화점 매출의 80%는 상위 20%라고 할 수 있는 VIP 고객들을 통해 발생한다.

 

골프 마스터스 경기나, 구기 운동 등 운동경기에서 전체 상금의 80%는 상위 20%의 선수들이 가져간다. 또한 전체 직원중 20%가 전체 매출의 80%를 만들어낸다.

 

파레토 법칙이 시사하는 것 가운데 하나는 모든 분야를 골고루 잘하려고 시간을 투자하여 노력하기보다는 자신의 성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요인, 즉 잘하는 것을 찾아 이에 집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선택과 집중에 대한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