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젠트리피케이션 무슨 뜻

반응형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단어는 백과사전에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서 중산층 이상의 계급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젠트리피케이션은 지주계급 또는 신사 계급을 뜻하는 젠트리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용어이다.

1964년 영국의 사회학자인 루스 글래스가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두에서 밝힌 젠트리피케이션의 정의에 대한 배경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물론 다양한 기능들이 도시로 집중되면서 여러 이슈들과 불편함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심부 주거지역에 살던 사람들은 기존보다 더 쾌적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도시 외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자연스럽게 인구가 늘어나게 되는 도시 외곽지역은 더욱 투자되며 발전해나가기 시작한다.

 

반면 외곽으로 이주할 능력이 되지 않는 사람들은 남아있게 되며 그 지역은 더욱 낙후되어간다. 그러나 이렇게 낙후된 것을 복원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도시재생사업이나 재개발등이 이뤄지면서 다시 도심은 활력을 찾게 된다. 

 

중산층 이상의 사람들이 몰리게 되면서 도시 중심부는 주거지역 및 고급 상업지구로 발전한다. 여기서 다시 부동산 가격이 높아지게 되었고 월세 등의 주거비용 역시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되었다.

 

결국 원래 거주자들은 이 것을 버티지 못하고 다른 지역으로 떠나게 된다.

바로 이러한 현상이 젠트리피케이션이라고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2000년대 이후 서촌, 홍대, 경리단길 등 새로이 뜬 상권을 중심으로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발생해왔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를 보고 들어온 특색 있고 개성 있는 가게들이 생겼다. 이러한 곳들이 사람들의 입소문을 타게 되어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게 되었고 유동인구가 늘게 되자 상권이 활성화되었다.

 

이로 인해 부동산 가치가 오르게 되었으며 건물주들은 임대료를 올리기 시작했다. 높아진 부동산 가격을 근거로 하여 임대료를 올리게 되자 기존의 상인들은 재계약을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이탈하기 시작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부동산 가치를 올려 준 상인들이 쫓겨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건물주들만 이익을 보는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건물주들도 손해를 보게 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심화될수록 상권 자체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