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경기 좋을 때 라는 것은 언제일까?

반응형

경기가 좋을 때

 

흔히 뉴스나 신문기사를 보다 보면 경기가 좋다, 나쁘다 등의 표현을 볼 수가 있다.

 

경기라는 것은 경제 상태를 말하는 것인데 경기가 좋다 라는 것은 경제 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가 좋을 때는 투자, 생산, 고용, 소비가 활발하게 움직이고 규모가 커지게 된다.

 

기업은 만드는 상품이 잘 팔리게 되면서 이익을 더 창출하기 위해 투자와 생산을 늘리게 된다.

 

원재료나 부품 등에 대한 구매도 더 많아질 수밖에 없다. 여기에서는 원재료뿐만 아니라 중간재에 대한 구매력도 높아지게 되는데 중간재라는 것은 상품 생산 중간 단계에서 쓰이는 재화라고 볼 수 있다.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업에서 중간재나 원재료의 구매를 늘리게 되면 당연히 다른 기업들도 함께 일감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기업에 일감이 는다는 것은 바로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자리가 많아지게 되면 가계 수입이 늘어나므로 소비가 자연스럽게 늘어난다. 가계 소비가 늘면 상품 판매가 더 되게 된다.

 

기업은 이익을 더 내기위한 목표를 가지고 투자와 생산을 더욱 늘린다. 공장, 기계설비, 사무 건물 등을 포함한 생산설비와 인력 고용 규모가 커지는 선순환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투자와 생산, 소비가 이렇게 선순환 구조로 확대되면 이에 따른 국가의 세금 수입도 커지게 된다.

 

국가의 세금 규모가 커진다는 의미는 이로 인해 공공사업을 더 많이 할 수 있는 여력을 확보하게 된다는 것이다. 공공사업이 많아지면 기업 일감이 많아지므로 일자리는 또다시 따라서 늘게 될 것이고 가계가 소비를 더 늘리게 된다.

 

이처럼 경기가 좋을 때 소비, 생산, 투자, 고용이 맞물리면서 더 활발하게 움직이면서 호황이 생기는 것이다.

 

경기는 꺾이기도 한다.

 

경기가 항상 오르막이고 호황일수만을 없다.

 

호황 때는 소비나 판매 규모가 늘어서 기업이 원활하게 돈을 벌 수 있는 구조이다. 생산과 투자가 늘고 원재료, 중간재, 인력 고용에 들어가는 돈 씀씀이가 커지게 된다.

 

실물경기가 꺽이는 모습은 경기가 확대되는 와중에 수요 초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곧 재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지는 현상으로 볼 수 있는데 물자 공급이 부족해지면 물가가 올라 경기를 끌어내리는 것이다.

 

수요 초과 현상으로 인해서 경기 추세가 꺾이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호황기의 수요 팽창은 수요가 선도하게 된다. 경기가 좋을 때 기업은 상품 판매 물량과 재고 물량을 높이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려고 한다. 

 

생산재 확보 경쟁이 시작되면 생산재에 대한 판매가는 시장 논리에 의해 올라가게 된다.

 

이로인해 원재료 값 인상 분만큼 기업은 이익 보전을 위해 완제품 판매가를 올리게 되므로 결국에는 소비자가 구매하는 가격도 오르게 된다.

 

이렇게 개별 상품 판매가가 오르게 되면 속칭 물가라고 부르게 되는 상품 가격을 종합 한 통계치 자체가 오르게 된다.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진행이 되게 되는 것이다.

 

경기가 확대되면서 물가 상승세가 심해져 경기가 정점을 지나 과열이 되게 되면 물가가 뛰는 것 대비 소비자 실질소득이 급감하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주로 구매하는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확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생산재도 줄어든다. 그러면 상품 판매량과 판매 속도 역시 증가세가 꺾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면 기업의 움직임도 호황 때와는 사뭇 달라지게 된다.

 

재고물량을 더 이상 쌓아두지 못하고 시장으로 내놓게 되며 늘리던 제품 생산량은 줄여야 하는 것이다.

 

생산이 줄어들게 되면서 원재료 생산을 하는 기업의 규모도 덩달아 줄어들게 된다. 그러면 더 많은 기업이 생산 설비와 인력을 줄임으로써 실업이 늘어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