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고사성어

미인 관련 고사성어(우미인초 / 경국경성 / 해어화)

반응형

우미인초[虞美人草]

 

초나라의 장수 항우가 적군에게 둘러쌓여 사면초가로 승산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사랑하는 여인인 우미인에게 찾아가 

"너를 어찌하면 좋단 말인가. 이 곳을 피해 살아남기를 바란다."

라고 말했다. 

 

그러자 우미인은  "저 혼자 살아 무엇을 한단 말이오." 라며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 우미인을 묻은 땅에서 붉고 예쁜 꽃이 피었는데 

슬픈 듯이 바람에 흔들리는 그 모습을 우미인에 비유하여

'우미인초'라 하였다.

 

 

출처

 

송나라 시대의 문학가 증공의 시 <우미인초>

 


말을  아는 꽃[解語花] 해어화

 

당나라 시대의 현종 황제가 궁중의 연못에 활짝 피어 있는

흰 연꽃을 바라보고 있을 때 아름다운 양귀비를 가리키며

주위 사람들에게 말했다.

 

"저 연못에 핀 연꽃의 아름다움도 이 말을 아는 꽃의 아름에움에는 미치지 않는다."

말을 아는 한 꽃이란 곧 말을 하는 꽃이란 뜻으로 미인의 비유

 

출처

 

오대십국 시대의 문학자 왕인유가 쓴 <개원천보유사>

 

 


경국경성[傾國傾城]

 

후한시대의 광무제의 왕비를 두고 

"북쪽에 아름다운 사람이 있으나 세상에서도 드문 아름다움을 가져 

그 사람이 한 번 돌아보면 성을 망하게하고 

두 번 돌아보면 나라를 망하게 한다.

성과 나라가 망한다는 것을 모르는 것을 아니지만 

이러한 미인을 다시 얻기는 어려우리라."

라고 읊은 시에서 생겨난 말이다. 

왕이 정치도 전쟁도 모두 팽겨쳐버리고 여인에게 빠져버려

나라를 망하게 할 정도의 미인. 한나라의 왕이 나라를 망쳐버려도

아깝지 않을 정도의 미인

 

출처

 

후한시대의 역사가 반고가 전한 시대의 역사를 였은 '한서' 의 <외척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