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인클로저 운동이란 무엇일까?

반응형

양이 사람을 잡아먹는다. 인클로저 운동

너무나 당연할 수 있겠지만 초기 봉건제도에서는 땅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그리고 해당 토지가 누구의 소유인지 애매한 공유지에서 발생하는 풀, 목재 등에 대해서 영주뿐 아니라 소작농도 공유할 수 있는 권리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은 중세 대항해시대를 기점으로 하여 크게 변동하였다. 대항해시대를 맞이해 양모의 수요가 크게 늘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급등해버리자 양들을 많이 키울 수 있는 풍족하고 넓은 토지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 되었다.

이 다음에 일어나는 일은 충분히 예상이 가능하다.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사람들을 욕심을 가지게 되고 이는 행동으로 드러나게 된다. 

 

힘 있는 영주, 지주들은 자신들을 위한 더 많은 토지 확보를 위해서 소작농과 자작농의 땅을 빼앗고 그동안 함께 공유했던 공유지에 울타리를 설치하면서 자신들의 토지를 확대하기 시작했다.

 

이를 인클로저(Enclosure) 운동이라고 한다.

16세기경 법률가이자 사상가, 정치가였던 토마스 모어는 자신의 저서인 유토피아에서 양이 사람을 잡아먹는다. 라는 표현을 통해 인클로저 운동의 폐해를 지적한 바 있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개념으로 함께 사용했던 토지마저 힘 있는 영주, 자본력 있는 부르주아 계층이 독식하게 됨으로써 기존의 자작농과 소작농 계층의 생계를 어렵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면 인클로저 운동이 계속되었을까? 당연히 아니다. 인클로저 운동은 평등에 기반한 공동재에 대한 개념을 무력화시키고 가진 것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소작농의 권리를 빼앗았기에 법으로 금지되었다.

 

하지만 부르주아 계층은 이러한 것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수익을 극대화하고자 인클로저 운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부르주아 계층이 의회를 장악하며 이러한 위세 및 행동은 계속되었다. 인클로저 운동은 많은 농민의 권리와 경제력을 약화시켰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동전의 앞뒷면과 같이 다른 한 편으로는 한정된 땅에서 더 많은 농작물 생산을 위해서 효율성을 높여가는 생산 방식의 변화는 자본 중심의 경제체제를 탄생시키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자신의 땅을 잃고 쫓겨난 농민들은 도시로 몰려들었다. 때마침 산업화와 맞물려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던 도시에서는 이들의 값싼 노동력을 토대로 영국 산업혁명의 성공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중동전쟁 역사

중동전쟁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1948년부터 1973년까지 무려 4차례에 걸쳐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 간에 벌어진 전쟁을 말한다. 4차례에 걸친 중동전쟁은 모두 이스라엘의 승리로 끝났고, 이

learn-the-new.tistory.com

18세기 후반 이르러서는 도시의 인구 증가와 전쟁 등으로 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농산물 가격이 오르게 되자 새로운 경작지가 만들어지고 농지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해 기술의 혁신을 가져오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인클로저 운동은 다수의 농민을 농지에서 쫓아내는 폐해를 가져왔지만, 농업발전의 혁신과 산업혁명의 토대가 되는 노동력을 제공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젠트리피케이션 무슨 뜻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단어는 백과사전에 낙후된 구도심 지역이 활성화되어서 중산층 이상의 계급층이 유입됨으로써 기존의 저소득층 원주민을 대체하는 현상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젠트리피

learn-the-new.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