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비쌀 때는 나누고 안팔리면 묶는다. 버저닝과 번들링

반응형

장을 보러 대형마트나 대형 슈퍼마켓 등을 방문하면 전단지나 SMS 등을 통해 할인쿠폰을 지급하여 쿠폰을 보유하고 있는 고객에게만 할인을 해주는 행사를 종종 진행한다. 유통업계에서는 아주 전통적인 판촉 행사인데 이렇게 판촉을 하는 이유는 단순 가격을 내려서 판매하는 행위보다 효과적인 고객 맞춤 마케팅 전략이기 때문이다.

 

고객마다 소비 성향이 다양하고 패턴 등이 각양각색이다. 수많은 고객들 중에는 가격 민감도가 높아 100원 차이에도 구매 결정을 하는 고객이 있는 반면에 가격은 중요한 요소가 아니라고 크게 신경쓰지 않는 고객도 있다.

물건을 판매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모든 고객들에게 가격 할인을 해주는 것보다는 가급적 가격 민감도가 높은 고객들만 대상으로 할인을 해주는 것이 훨씬 매출 효율을 높일 수가 있는 것이다.

 

가격이 비싸건 싸건 어차피 신경쓰지 않는 고객들한테까지 굳이 할인을 해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쿠폰이라 함은 가격에 민감한 고객과 그렇지 않은 고객을 구분하여 공략할 수 있는 타겟마케팅의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마케팅 STP전략이란 의미, 개념 및 예시

STP전략의 정의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마케팅 용어 중 STP 전략이라는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STP 전략이란 마케팅 전략 중 가장 기본적인 전략 중 하나로 시장을 세분화하고(Segmentation),

learn-the-new.tistory.com

이처럼 동일한 상품임에도 어떤 소비자에 따라 서로 상이한 가격을 부과하는 전략을 가격차별 전략이라고 한다.

매스(mass) 마케팅이 가지고 있는 단점인 효율성 측면을 강화한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격차별화도 여러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번에 이야기할 방법은 바로 버저닝과 번들링이다.

 

 

앤소프 매트릭스 무엇인가? 꼭 알아야 할 필수 경영전략

기업 존재의 가치는 무엇일까? 기업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이윤창출이다. 한 기업이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결국 매출을 늘려야 한다는 아주 단순한 결론이 나온다. 유형의 상품

learn-the-new.tistory.com

버저닝과 번들링은?

버저닝은 소프트웨어 같은 디지털 상품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마이크로소프트나 어도비, 한글 등 소프트웨어 제품을 보면 가정용 버전과 기업용 버전, 체험판 등이 있다. 또한 기능 범위에 따라 버전이 세분화 되어 있기도 하다.

 

이럴 때 같은 제품이라고 할지라도 여러 버전을 나눔으로써 돈을 많이 지불할 능력이 있는 기업이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높은 가격에 팔고 학생이나 초심자에게는 싸게 파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제품의 경우에는 다른 제조상품과 다르게 제품을 하나 더 만드는데에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판매를 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명분을 중요시 하는 코즈마케팅 사례

코즈마케팅이란 무엇일까? 기업은 제품과 서비스의 판매를 늘려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마케팅을 진행한다. 마케팅 기업은 시대나 환경에 따라 다변하기 마련인데 요즘과 같

learn-the-new.tistory.com

버저닝은 이익을 극대화하는 측면 뿐만 아니라 제품 출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품질이나 기술에 대한 고객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한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버전으로 새로운 제품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버저닝과 달리 번들링은 묶음 판매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위에서 살펴본 소프트웨어 상품의 경우 버저닝이 아닌 번들링 판매도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MS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원노트를 묶어서 판매를 한다.

 

이는 소비자 구매 측면에서는 구매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판매자 입장에서는 비인기 상품에 대한 판매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소프트웨어상품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유통기한이 짧은 신선식품에서도 이와 같은 전략이 사용되는데 재고가 많아서 판매 부진 시 손해가 나는 것이 예상될 시에 묶음 판매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재고 회전을 시킬 수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물건을 구매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