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딧불하면 어둑한 시골에서 소소한 불을 밝혀주는 낭만적인 풍경이 떠오른다. 최근에는 반딧불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많은 사람들이 반짝이며 빛을 내는 반딧불이를 보기 위해 반딧불 축제를 가고는 한다.
여기서 반딧불과 반딧불이를 명확하게 이야기하자면 반딧불은 반딧불이 꽁무니에서 나오는 불빛이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우리가 흔히 개똥벌레라 부르는 곤충이다.
그런데 반딧불이가 내는 반딧불을 떠올려보면 왜 빛을 내는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그래서 어떤 이유에서 빛을 내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이유 무엇?
많은 생물들의 행동 중에는 짝짓기와 연관되어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반딧불이도 마찬가지이다. 반딧불이 수컷이 짝짓기를 할 때 암컷을 유혹하는 방법이 두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빛을 내는 것이다.
반딧불이 수컷은 자신이 마음에 드는 암컷을 발견하게 되면 먼저 암컷을 향해 빛을 보내는 행동을 하게 된다. 사람의 행동에 빗대자면 일종의 세레나데인 셈이다.
이때 암컷은 수컷의 매력을 판단하게 되는데 발광 지속 시간과 패턴이 바로 수컷의 매력을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 그 결과로 수컷의 구애를 받아들이기로 결정을 한다면 암컷은 수락의 의미로 짧게 빛을 깜빡인다.
암컷에게 구애에 성공한 수컷은 짝짓기를 하는 동안에 암컷의 몸으로 선물을 넣어준다. 이 것이 바로 유혹하는 방법 두 가지 중 나머지 하나이다. 수컷이 주는 선물은 바로 정자 꾸러미인데 이를 정포라고 한다. 정포에는 정자와 함께 암컷을 위한 영양분이 함께 들어 있다.
암컷이 수컷의 구애를 받아들이고 그 이후에 수컷이 신체 접촉을 하는 시점부터는 수컷의 정포 크기에 반응한다. 정포가 더 큰 수컷이 짝짓기에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반딧불이가 빛을 내는 이유 중 또 다른 것이 있는데 이는 짝짓기 외에 포식자를 향해 보내는 경고의 의미가 있다. 또한 동료들과 정보를 공유하는 역할도 있다고 한다.
반딧불이는 몸속에 있는 루시페린이라는 발광 색소와 루시페라제를 통해 빛을 낸다. 몸 안의 루시페라제가 루시페린을 활성화시키고 이 활성화된 루시페린이 몸속에 들어온 산소와 만나면 산화돼 빛을 내는 것이다.
1년이 12달 365일인이유는 무엇일까
1년이 365일인 이유 이미 알려진 것과 같이 지구는 자전을 한다. 지구가 자전을 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하루인셈이다. 또한 지구가 태양계에서 태양의 둘레를 도는데 이를 공전이라하
learn-the-new.tistory.com
반딧불이의 불빛은 촛불이나 전구가 내는 빛과는 달리 차가운 빛이다. 이 것이 의미하는 바는 열 손실이 거의 없는 매우 효율적인 빛 에너지라는 것이다. 백열등이 켜진 상태에서 손을 대보면 등이 매우 뜨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백열전구는 전기에너지의 10% 정도만 빛으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열로 빠져나가는 비효율적 구조라 생기는 현상이다. 백열등을 켠 상태에서 백열등을 만져보면 등이 뜨거운 것은 그 때문이다.
반딧불이 한 마리가 내는 빛의 밝기는 얼마나 될까? 알려진 바로는 반딧불이가 내는 빛의 밝기는 약 3럭스라고 한다. 1럭스는 촛불 1개 정도의 밝기를 나타내는데 보통 사무실의 밝기가 대략 500럭스 정도라고 하니 밝은 빛을 내기 위해서는 꽤나 많은 반딧불이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옛것을 익히고 > 마케팅 및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소유예 뜻 의미 무엇일까? (0) | 2022.06.28 |
---|---|
인클로저 운동이란 무엇일까? (0) | 2022.05.24 |
비쌀 때는 나누고 안팔리면 묶는다. 버저닝과 번들링 (0) | 2022.04.11 |
명분을 중요시 하는 코즈마케팅 사례 (0) | 2022.04.11 |
립스틱 효과 뜻 어떤 의미일까?(넥타이 효과, 치마길이 효과)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