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년이 365일인 이유
이미 알려진 것과 같이 지구는 자전을 한다. 지구가 자전을 하는 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하루인셈이다. 또한 지구가 태양계에서 태양의 둘레를 도는데 이를 공전이라하고 그 것이 바로 1년이다. 지구는 태양의 둘레를 한바퀴 도는 시간인 1년동안 약 365회 가량 자전을 하는 셈이다. 즉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 1년이라는 시간동안 한 번 씩 자전하는 일 수는 365일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지구는 1년이라는 시간동안 온전히 365회만 자전하는 것이 아니다.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면 지구는 365와 4분의 1일을 돈다. 그래서 생긴 것인 바로 윤년이다. 윤년은 4년마다 한 번씩 1년이 366일이 되는 것인데 윤년이 존재함에 따라 계절과 달력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728x90
1년은 왜 12달일까?
아주 과거였던 로마시대에는 열 달 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 이유는 달을 세는 단위가 10개까지 밖에 없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September, October, November, December 의 단어들은 각각 7~10까지를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다. 그렇다면 빠진 달들은 언제부터 생기게 된 것일까? 이는 달력을 만든 유래와 관련이 있다. 로마인들은 농사를 짓기 위해서 그와 관련된 절기를 알고자 달력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비어 있는 달에 대해 의문을 품은 폼필리우스 황제가 1월과 2월을 집어넣으면서 현재의 12달 체계가 되었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반응형
'옛것을 익히고 > 마케팅 및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STP전략이란 의미, 개념 및 예시 (0) | 2021.04.09 |
---|---|
깨진 유리창 법칙 무슨 뜻 의미일까 (0) | 2021.04.09 |
카오스 시대를 극복하는 위기 극복 시스템 카오틱스 (0) | 2021.04.05 |
프레임 씌우다 뜻과 의미 그리고 사용 예시 (0) | 2021.02.24 |
잠의 효과 숙면이 필요한 5가지 이유 (0) | 202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