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은 일을 배우는 것보다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말보다 실천'이라는 말이 있다.
또 '현명한 것보다 친절한 것이 낫다' 라는 말도 있다.
유태인들의 오래된 이야기로 이론과 실제가 다르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있다.
고대 이스라엘의 어느 학교에서 선생님이 학생에게 질문을 하였다.
"2분의 1 더하기 2분의 1은 무엇인가?"
그러자 그 학급에서 가장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먼저 손을 들었다.
"선생님, 2분의 1입니다."
라고 대답을 하였다.
선생님은 의외의 대답에 깜짝 놀라서 말했다.
"2분의 1과 2분의 1을 더하는데 어째서 2분의 1이 되는 것이지?
반과 반을 더하면 어떻게 되는지 다시 한번 생각해보고 말해주지 않겠니?"
학생은 잠시 생각에 잠겼다. 그리고 다시금 말했다.
"선생님 역시 2분의 1입니다."
선생님은 잠시 의아한 표정을 짓더니 학생에게 말했다.
"그러면 이리 나와서 한 번 써보지 않겠니?"
하며 종이 한 장을 주었다.
그러자 학생은 종이에 2분의 1 더하기 2분의 1은 2분의 1이라고 썼다.
"어째서 이러한 답이 나오는 거지?"
선생님이 질문하였다.
"분자의 1과 1을 더하면 2가 되고 분모의 2와 2를 더하면 4가 됩니다.
따라서 이를 약분하면 2분의 1이 됩니다. "
하고 대답하였다.
선생님은 흠칫 놀라며 사과를 가져왔다.
사과를 반으로 나눈 다음
"여기 반쪽자리 사과가 2개가 있다. 이 것을 더하면 어떻게 되는가?"
하고 물었다.
그러자 학생은 단번에 대답하였다
"1개가 됩니다."
"사과의 경우에는 1개가 되는데 아까 종이에 계산한 부분은
왜 2분의 1이 되는 것이지?
2분의 1 더하기 2분의 1은 1이라는 것이
증명된 것이 아니니?"
하고 선생님이 말하자 학생은 종이에 다시 수식을 쓰고 대답했다.
"실제로는 분명히 1개가 되나 종이에 이론적으로 증명하자면
2분의 1밖에 되지 않습니다."
물론 엉뚱하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수학적으로 계산한다면 당연히 이 문제의 답은 1이된다.
그러나 학생이 계산한 것과 같이 한다면 2분의 1이 된다.
이와 같이 이론은 잘못 생각되어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가 더 중요한 것이다.
'옛것을 익히고 > 탈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무드 말의 어리석음① (0) | 2020.07.16 |
---|---|
반쯤 어리석은 사람이 더 어리석다. 탈무드 가르침의 길⑥ (0) | 2020.07.15 |
지식은 물과 같다. 탈무드 가르침의 길④ (0) | 2020.03.17 |
탈무드 가르침의 길③ (0) | 2020.03.14 |
탈무드 가르침의 길② (0)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