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서번트 리더십 리더가 가져야 할 리더십 모델

반응형

기업의 상황이 안 좋아지거나 대대적인 혁신이 필요할 때 그 기업의 CEO를 교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많은 인원의 구성원으로 이뤄진 조직 자체를 한 번에 바꿀 수 있는 최고 위치의 리더를 교체하는 것인데 이러한 조치가 해당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서번트 리더십

리더십에는 다양한 모델이 있는데 그중 주목받는 모델 중 하나가 서번트 리더십이다. 서번트는 영어로 servant 즉 하인, 종복을 의미한다. 리더십인데 뜬금없이 하인이라는 단어가 붙는 것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서번트 리더십은 섬김의 리더십이라고 일컬어진다. 내부 직원, 고객을 섬긴다는 핵심 가치를 가지는 것이다. 리더와 서번트, 뭔가 상반되면서 어울리지 않는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리더십 모델 유형으로 각광받는 것에 우리는 주목해야 한다. 

 

 

서번트 리더십을 최초로 소개한 이는 경영컨설턴트로 활동했던 로버트 그린리프이다. 그린리프는 1970년에 <리더로서의 서번트>라는 글에서 이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서번트 리더십을 만들게 된 계기는 헤르만 헤세의 소설 <동방 순례>를 보고 나서라고 한다. <동방 순례>라는 작품은 여행단을 다룬 이야기이다. 작품의 주인공인 레오는 여행단 내에서 궂은일을 도맡아서 하는 구성원인데 여행단에서 그가 빠지게 되자 엄청난 혼란을 맞이하며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 채 여행을 중단하게 된다. 여행 단원 중 한 명이 나중에 후원을 해준 교단을 방문했다가 레오가 그 교단의 리더이자 정신적 지주라는 놀라운 사실을 접하게 된다. 

 

그린리프는 이를 통해 서번트 리더십의 아이디어를 얻고 이를 더 구체화하기 시작했다. 그가 말하는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은 리더가 조직 구성원들에게 성과에 대한 압박, 동기부여, 관리하는 차원을 넘어서 조직 내부로 들어가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게끔 만들어 주는 역할이다. 

 

서번트 리더십의 주요 특성

첫번째로 경청하는 자세를 말한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구성원의 의견을 경청해서 구성원의 욕구를 정확하게 인지한다.

두 번째는 공감으로 구성원의 마음과 감정을 이해하고 구성원이 필요한 것이 어떤 것인지 캐치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치유로 구성원에게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살피는 것이다.

네 번째는 스튜어드십으로 구성원들을 위해 자원을 관리하고 봉사하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구성원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다. 개인적인 성장을 위해 기회와 자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섯 번째는 공동체 형성으로 구성원이 서로 존중하고 봉사하면서 진정한 공동체를 만들도록 조직을 이끄는 것이다.

 

과거에는 강력한 카리스마를 앞세워 조직을 장악해 이끌어가는 리더십이 좋은 리더의 덕목이라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시대는 변하였고 최근 상호 존중하는 문화와 개개인의 개성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되었다. 이미 미국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을 기업의 기본 철학으로 삼고 있는 곳이 많다. 그만큼 현대 경영에서 주목받는 리더십의 모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