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더닝크루거 효과란?

반응형

더닝크루거 효과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번쯤은 들어봤을 용어인데 설령 들어보지 못했어도 의미를 안다면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내용이다.

더닝크루거 효과란 무슨 뜻일까?

더닝크루거 효과를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머리가 나쁘고 지식이 얕은 사람일수록 자기가 무엇을 모르는지 모르기 때문에 더 자신만만한 반면에 똑똑하고 능력이 있는 사람은 되려 지나치게 겸손한 자세를 취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사회 생활을 하다보면 직장 또는 학교 등의 조직 내에서 토론을 할 때 아래와 같은 유형의 사람을 볼 수가 있다.

 

잘 알지도 못하는데 자신 말이 답인 것 마냥 밀어붙이는 사람

vs

많이 알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기 주장에 확신이 없어서 여기 저기 끌려다니는 사람

 

위의 사례가 더닝크루거 효과를 가장 쉽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더닝크루거 효과의 기원을 알아보자.

 

 

깨진 유리창 법칙 무슨 뜻 의미일까

깨진 유리창 법칙? 매 번 같은 길을 지나가는데 어느날 문득 쳐다보게 된 상점의 유리창이 깨져있었다. 다음날 똑같은 길을 지나가는데 여전히 그 상점의 유리는 깨져있었다. 이 것을 보고나면

learn-the-new.tistory.com

코넬 대학교 사회심리학 교수 데이비드 더닝과 대학원생 저스틴 크루거가 코넬 대학교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이론이 바로 더닝크루거 효과이다.

 

특정 분야에 대해 조금 아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적당히 유능한 사람이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최근에 많이 알려진 단어 중 하나가 바로 메타인지인데 이 메타인지도 더닝크루거 효과와 연관성이 있는 단어이다.

 

 

고객의 지갑을 열게 하다. 열게 하다. 플래노그램, 웨보그램 무슨 뜻일까

플래노그램(Planogram)은?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 물건을 사러 가서 나도 모르게 계획에 없던 상품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삼겹살만을 구매하기 위해서 마트의 축산코너에 갔는데 옆에

learn-the-new.tistory.com

메타인지란 내가 무엇인가를 아는지 모르는지에 대해 아는 능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자신을 객관화해서 바라보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메타인지가 부족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더닝크루거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그래서 흔한 말로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표현이 사용되는 것이다.

 

"무지는 지식보다 더 확신을 가지게 한다." (찰스 다윈)

 

"이 시대의 아픔 중 하나는 자신감이 있는 사람은 무지한데, 상상력과 이해력이 있는 사람은 의심하고 주저한다는 것이다." (버트란드 러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