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것을 익히고/마케팅 및 일반상식

폰지사기 무엇일까? 사례 알아보기

반응형

최근 뉴스에 많이 나오는 범죄 중 폰지사기라는 것이 있다. 

 

자주 들어봤는데 정확한 의미를 모를 수가 있어서 예시와 함께 알아보자.

 

폰지사기 뜻과 사례

 

폰지사기는 투자 사기 수법의 하나이다.

 

폰지사기 뜻 사례

 

실제로는 아무런 이윤 창출 없이 투자자들이 투자한 돈을 이용해 투자자들에게 수익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폰지사기라는 이름과 이 수법은 1920년대 미국에서 찰스 폰지가 벌인 사기 행각에서 유래한 것이다.

 

폰지사기 뜻 사례
찰스 폰지

 

폰지는 국제우편쿠폰 유통과 관련해 45일 후 50% 등 고수익을 지급할 것을 약속하고 투자자를 모집했으나, 실제로는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배당을 지급하면서 사업을 불려 나갔다.

 

폰지사기 사례로 가장 유명한 것은 국내에서는 조희팔 사건이다.

 

 

 

더닝크루거 효과란?

더닝크루거 효과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한 번쯤은 들어봤을 용어인데 설령 들어보지 못했어도 의미를 안다면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내용이다. 더닝크루거 효과란 무슨 뜻일까? 더닝크

learn-the-new.tistory.com

 

희대의 사기꾼으로 알려진 조희팔은 의료기기를 사면 빌려줘서 고수익을 낸다는 식의 수법으로 사기를 쳤고, 지역별로 다른 이름을 사용했다.

 

당시 피해금액은 무려 5조 원이었으며, 피해자는 약 7만 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희팔은 검찰이 기소하기 직전인 2008년 말에 중국으로 밀항하였고, 지난 2011년 12월에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졌으나  그 이후로도 조희팔을 봤다는 목격담이 전해지면서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얼마 전에는 머지포인트라는 회사가 세상을 떠들석하게 했다.

 

2021년 8월에 발생한 머지포인트 사태는 사업 중단 위기에 처했는데 그 상황을 숨기고 소비자 63만명에게 총 2663억원 상당의 머지포인트를 판매했다. 운영사 측은 할인 금액 차감 후 90%를 환불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지키지 않았으며 머지포인트 운영사 대표 권모씨는 2022년 사기 등 혐의로 징역 8년을 선고받았다.

 

폰지사기 뜻 사례

 

폰지사기는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는 단계에서는 실제로 이윤을 창출하지 않으면서도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며 많은 투자자를 유인한다. 

 

그러나 언젠가는 새로운 투자자가 부족해지면서 붕괴되는 금융피라미드 형태의 사기라고 할 수 있다.

 

반응형